-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계층화한 모델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는 구조이다.
7층 응용 계층 6층 표현 계층 5층 세션 계층 4층 전송 계층 3층 네트워크 계층 2층 데이터 링크 계층 1층 물리 계층 1. 응용 계층
- 통신의 최종 목적지이다.
-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응용프로그램이라고 한다.
-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이다.
- 파일전송, 이메일, 웹 브라우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HTTP, FTP, SMTP ...
2. 표현 계층
- 데이터의 암호화, 복호화 같이 응용 계층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는 계층이다.
- 데이터의 형식변환, 암호화, 복호화, 압축을 담당한다.
- JPEG, MPEG, GIF ...
3. 세션 계층
- 송수신간의 연결을 담당한다.
- 세션연결을 설정하고 유지 및 종료를 관리한다.
- API, Socket
4.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해 포트번호를 정한다.
- 포트는 전송할 대상이 누구인지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 TCP, UDP
5.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를 패킨단위로 처리하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 IP주소를 사용해 네트워크 간 통신한다.
- 라우터
7.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프레임에 물리적 주소 (MAC address)를 부여하고 에러검출, 재전송, 흐름제어를 수행한다.
- 브리지, 스위치, 이더넷 ...
8. 물리 계층
-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 물리적인 송수신을 담당한다.
- 0과 1로 되어있는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전송한다.
-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
'CS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com을 검색했을 때 일어나는 과정 (0) 2025.01.08 OAuth (0) 2025.01.06 Spring Security (1) 2025.01.04 Spring framework (0) 2025.01.02 JWT (0) 2025.01.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