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Home
  • 전체
    • CT
      • SWEA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CS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Python
      • JAVA
      • SQL
      • 웹개발
    • 실습
      • 프로젝트
      • Brity RPA
      • Outsystems
    • 일상
Home
  • 전체
    • CT
      • SWEA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CS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Python
      • JAVA
      • SQL
      • 웹개발
    • 실습
      • 프로젝트
      • Brity RPA
      • Outsystems
    • 일상
블로그 내 검색
GITHUB

현지

현지의 개발일지

네트워크 (1)

  • CS/웹개발

    google.com을 검색했을 때 일어나는 과정

    1. 브라우저 검색창에 google.com을 검색한다.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선 도메인주소가 아닌 IP주소가 필요하다.IP주소는 외우기가 힘들기 때문에 도메인명으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DNS서버를 이용한다.DNS서버: URL이름과 IP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2. 브라우저에 캐싱된 DNS기록을 확인한다.브라우저는 4가지의 캐시를 확인한다.Browser캐시 -> OS캐시 -> router캐시 -> ISP캐시ISP: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의 약자 3. 요청한 URL이 캐시에 없으면 ISP의 DNS서버에서 다른 DNS서버에 DNS Query를 날려 IP주소를 알아낸다.캐시에 요청한 URL의 IP주소가 없으면 ISP는 DNS서버들을 검색하여 해당 도메인의 IP주소를 찾을 때까지 검색한다. 4. ..

    2025. 1. 8.

이전
1
다음
전체 글 보기
  • GITHUB
Tistory 로그인
Tistory 로그아웃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Today

Total

Designed by Nana
블로그 이미지
hyunji1109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