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
- 하나의 엔터티 안에는 반드시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 식별자는 논리 데이터 모델링에서 사용하고, 물리 모델링에서는 키(Key)라고 표현
- 학생 엔티티의 주식별자는 학생번호 속성 -> 학생 테이블의 기본키는 학생번호 컬렁
특징
1) 유일성
- 주식별자에 의해 엔터티 내에 모든 인스턴스들을 유일하게 구분한다.
- 학생 엔티티에서 이름 속성은 동명이인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인스턴스를 완벽하게 구분할 수 없으므로 학생번호와 같은 유일한 식별자를 주식별자로 사용
2) 최소성
- 주식별자를 구성하는 속성의 수는 유일성을 만족하는 최소의 수가 되어야 한다.
- 학생 엔티티의 주식별자는 학생번호만으로 충분한데, 학생번호 + 이름으로 구성할 필요 없음
3) 불변성
- 주식별자가 특정 엔터티에 지정되면, 그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함
- 항상 고유값으로 존재해야 함
- 학생 엔티티에 주식별자인 학생번호가 때에 따라 변경되서는 안됨
4) 존재성
- 주식별자로 지정되면 데이터 값이 존재
- Null 값은 허용하지 않는다.
- 학생번호 없는 학생은 있을 수 없다.
식별자의 4가지 분류
1) 대표성 여부에 따른 식별자의 종류
- 주식별자
- 엔터티 내에서 각 어커런스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 타 엔터티와 참조 관계를 연결할 수 있는 식별자.
- 부서번호, 사번, 주문번호
- 보조식별자
- 엔터티 내에서 각 어커런스를 구분할 수 있으나, 대표성을 가지지 못해 참조관계를 연결하지 못한다.
- 주민등록번호, (사원 엔터티에서의 주식별자는 주민번호보다 사번이 더 알맞다.)
2) 생성 여부에 따른 식별자의 종류
- 내부식별자
- 엔터티 내부에서 스스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 부서번호, 사번, 주문번호 (각각은 부서에서, 사원, 구매신청 엔터티에서 스스로 만들어진다.)
- 외부식별자
- 타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타 엔터티로부터 받아오는 식별자
- 사원 엔터티의 부서번호 (사원 엔터티와 부서 엔터티는 부서번호로 관계되어 있다.)
내부식별자 외부식별자 다른 엔티티 참조 없이 엔티티 내부에서 스스로 생성되는 식별자 다른 엔티티와 관계로 인하여 만들어지는 식별자(외래키) 3) 속성 수에 따른 식별자 종류
- 단일식별자
- 하나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 부서번호, 사번, 주문번호
- 복합식별자
- 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 교육이력 엔터티에서 사번과 수강일자 두 속성을 이용해 식별자 역할을 한다.
4) 대체 여부에 따른 식별자의 종류
- 본질식별자
- 업무에 의해 만들어지는 식별자
- 부서번호, 사번
- 인조식별자
- 업무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원조식별자가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인위적으로 만들어짐.
- 주문번호 (기존에는 사번 + 주문일자 + 순번으로 불러와서 처리해야 해서, 인위적으로 주문번호만 처리하게 함)
식별자 표기법
주식별자 도출 기준
- 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석을 주식별자로 지정한다.
- 같은 식별자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업무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
- 학생번호와 주민번호 중에 학생번호가 주식별자, 주민번호는 보조식별자
- 명칭이나 내역등과 같은 이름은 피함
- 이름 자체를 주식별자로 사용하는 행위를 피함
- 부서명 보다는 부서코드를 부여하여 부서코드를 주식별자로 사용
- 속성의 수를 최대한 적게 구성
- 주식별자를 너무 많은 속성으로 구성 시, 조인으로 인한 성능 저하 발생 우려
- 일반적으로 7 ~ 8개 이상의 주식별자 구성은 새로운 인조식별자를 생성하여 모델을 단순화 시키는 것이 좋음
- 주문 엔티티에 대해 주문일자 + 주문상품코드 + 고객번호 + .... 등으로 구성 => 주문번호 속성 추가
관계간 엔티티 구분
1) 강한 개체
-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엔티티
- 고객과 계좌 엔티티 중 고객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
2) 약한 개체
-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엔티티
- 고객과 계좌 엔티티 중 계좌는 독집적으로 존재할 수 없음
- 고객에 의해 파생되는 엔티티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1) 식별관계(Identification Relationship)
- 하나의 엔터티의 기본키를 다른 엔터티가 기본키의 하나로 공유하는 관계
- 식별관계는 ERD에서 실선으로 표시
- 사원과 교육이력 엔터티에서 양쪽 모두 기본키 중 일부가 사원번호임
2) 비식별관계(Non-identification Relationship)
- 강한 개체의 기본키를 다른 엔터티의 기본키가 아닌 일반 속성으로 관계를 가지는 것
- 비식별관계는 ERD에서 점선으로 표시
- 부서와 사원의 관계에서 부서의 부서번호(기본키)를 사원 엔터티에서는 일반키로 가짐
- 사원에서는 사원번호가 기본키
'CS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D] 관계와 조인 (0) 2025.02.16 [SQLD] 정규화 (0) 2025.02.15 [SQLD] 관계(Relationship) (0) 2025.02.10 [SQLD] 속성(Attribute) (0) 2025.02.08 [SQLD] 엔티티(Entity) (0) 2025.02.07 댓글